강력범죄 = 흉악범죄(14%) + 폭력범죄(86%)
흉악범죄 : 성폭력(여성>>>>남성) >>>>> 살인 + 강도 + 방화(남성>여성)
폭력범죄 : 폭력(남성>>>>>여성) >>>>>> 상해(남성>>>>>여성)>>>>>> 협박 + 공갈 + 그 외...
성폭력에서만 여성이 압도적(95%)으로 많고, 그 성폭력 건수가 흉악범죄에서 대부분(88%)을 차지하기 때문에 흉악범죄 피해자 대부분이 여성이라는 왜곡된 결론이 도출되었다.
성폭력을 제외한 흉악범죄(살인 강도 방화)의 피해자는 남성이 더 많고, 흉악 범죄(14%)와 함께 강력범죄를 이루는 폭력범죄(86%)는 남성 피해자가(66%) 더 많다.
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성폭력을 제외한 흉악범죄 피해자의 55%는 남성이다.
폭력범죄 피해자의 66%는 남성이다.
강력범죄 피해자의 59%는 남성이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스트들은 우리나라의 여성혐오 문제를 부각시키기 위해, 모든 흉악범죄의 대상이 여성인 것처럼 몰아가며 사람들을 선동하고 있다.
대검찰청의 2015 강력범죄 피해자 분석
2014년 | 계 | 남성 | 여성 | 미상 |
강력범죄(흉악) | 34,126 | 3,552 | 28,920 | 1,654 |
살인 | 938 | 511 | 404 | 23 |
강도 | 1,618 | 768 | 789 | 61 |
방화 | 1,707 | 898 | 598 | 211 |
성폭력 | 29,863 | 1,375 | 27,129 | 1,359 |
강력범죄(폭력) | 233,655 | 133,222 | 67,935 | 32,498 |
폭력 | 146,625 | 83,623 | 40,607 | 22,395 |
상해 | 65,840 | 38,336 | 19,017 | 8,487 |
협박 | 9,205 | 4,132 | 4,322 | 751 |
공갈 | 7,162 | 4,628 | 2,128 | 406 |
약취와 유인 | 206 | 77 | 120 | 9 |
체포와 감금 | 1,265 | 467 | 722 | 76 |
폭력행위등(손괴,강요,주거 침입등) | 2,140 | 1,199 | 697 | 244 |
폭력행위등(단체등의 구성,활동) | 1,212 | 760 | 322 | 130 |